분류 전체보기(4526)
-
무섬의 겨울저녁
정월보름날 늦 저녁 달집태우기 축제전에 무섬마을 담길따라 마을안을 찾았다. 무섬사람들은 저 마다 차려입고 마을앞 내성천 축제강변에 다 나가고 빈 마을집집 흙담 너머 아랫목 구들장 달구는 저녁연기가 냅지않아 좋다. 봄 농사철 뿌릴 씨 처마끝 제 자리에 갖가지 걸려있고 오늘 정..
2012.02.15 -
홍매꽃순 (Japanese Apricot)
올 겨울 너무추워 우수봄비가 와야 꽃망울 활짝 터트릴것 같구나. -도산서원 필 매화 기다리며-
2012.02.13 -
늦 겨울 반변천
올 겨울 유달리 소·대한 한파 혹독하여 꽁 얼어붙은 집 앞 반변천이 우수 가까이 와서 서서히 녹기 시작하는 걸 보니 긴 겨울 이제 끝나 어느해 보다 봄 갑자기 찾아 오겠다.
2012.02.11 -
염원 (念願)-Performance
하회마을 장승쟁이:김종흥 약력 : 중요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 이수자 중요무형문화제 제108호 목조각 이수자 장승이란 민간 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 입구나 길가 또는 사찰의 입구에 나무나 돌을 이용하여 세운 목상이나 석상을 말한다. 명칭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체로 16..
2012.02.08 -
달집태우기-무섬
달집태우기는 정월 대보름에 하는 풍속놀이이다.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둔다.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는다. 형태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2012.02.07 -
오천 군자마을 (君子里)
오천 군자리는 광산 김씨의 예안 입향조는 농수 김효로(1455~1534)다. 그는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행에 열중하여 퇴계 선생이 그의 덕을 칭송하는 묘갈명을 지을 정도로 향리에서 명망이 높았다고 한다. 그의 아들 연과 유는 중종 때 명신으로 이름을 얻었고 이들의 자손들이 번창하여 명..
201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