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27)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남쪽지방 사람들이 몇 주전 부터 노루귀 사진 담아 올린걸 보고 성급하게 봄꽃찾아 나섰지만 산 헤매다가 돌아서길 몇차례였다. 봄 날씨 변덕 심했지만 어젠 고운사쪽 포기하고 혹시나 싶어 집 가까이 있는 갈라산을 찾았다. 얼음계곡 지나 낙엽쌓인 산기슭 오르니 아기노루 귀를 닮은 ..
2012.03.20 -
홍매紅梅 (red plum blossoms)
이번 주 지나면 통도사 홍매화가 진다기에 비 오는 날 일찍 먼 길 집을나서 홍매화 고운 자태를 담아본다고 설쳐 보았지만 실력 모자라 남들 처럼 바로 담지못해 서툰솜씨 어리석다. 그래도 유명하게 알려진 통도사 홍매화를 눈 에라도 잘 새겨와 추억 하나 만들었으니 너무나 다행이다.
2012.03.18 -
천등산 봉정사
봉황새 봉. 머무를 정. 을 따서 명명한 천등산 봉정사 신라천년고찰 다운 기품과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해주는 전각기둥의 나이.... 한국에서 가장 오래보존되어 지켜온 전각들의 역사들을 알 수 있는 봉정사의 가람이다. 절 주위에 자리한 고목의 웅장한 자태 그것을 지켜오기 위한 정성..
2012.03.11 -
도산 단천리
퇴계와 육사의 흔적을 따라서 도산 단천리를 찾아나섰다. 청량산 쪽 겨울눈 녹은 낙동강물이 농암종택앞을 지나 퇴계오솔길을 굽이 돌면서 이곳 왕모산성과 단천리 사이를 끼고 흐른다. 왕모산은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으로 왔을 때 왕의 어머니가 이 산으로 피난했다 ..
2012.03.09 -
퇴계구택(退溪舊宅)
이 건물은 조선<朝鮮> 중기<中期>의 대학자<大學者>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 선생의 종택이다. 원래의 건물은 없어졌으나 1929년에 선생의 13대 사손<嗣孫> 하정공<霞汀公>이 사림<士林> 및 중종<中宗>의 협조로 옛 종택의 규모를 참작하여 지..
2012.03.07 -
동학사(東鶴寺)
충남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의 계룡산 북동쪽 기슭에 있는 동학사는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724년(성덕왕 23) 상원조사(上願祖師)가 암자를 지은 곳에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절을 창건해 상원사(上願寺)라 했다. 936년 신라가 망하자 대승관(大丞官) 유거달(柳車達)이 이곳에 와 신라의 시..
201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