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28)
-
신숭겸(申崇謙) 유적지
대구기념물 1호로 지정돼 있는 신숭겸장군유적지는 태조 왕건을 대신해 죽음을 맞게 된 신숭겸 장군이 순절한 곳이다. 신숭겸 장군이 순절한 곳은 이곳이지만 실제 묘가 있는 곳은 지금의 춘천이다. 현재 이 자리에는 태조 왕건이 신숭겸 장군을 기념해 지은 지묘사가 있어야 하지만 지..
2012.11.25 -
노량 충렬사-秋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남해대교 인접에 있는 충렬사(南海忠烈祠)는 임진왜란이 끝나던 해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넋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노량충렬사라고도 한다. 통영의 충렬사와 함께 ‘충열(忠烈)’이란 현판을 처음부터 같이 사용해 왔으며 인..
2012.11.24 -
활래정(活來亭)
활래정(活來亭)은 강원 강릉시 경포호수에 있는 선교장의 정자다. 활래정은 선교장의 사랑채인 열화당을 건립한 다음 해인 1816년(순조 16)에 오은거사 이후(李垕)가 건립하였다. '활래정'이란 이름은 주자의 시 「관서유감(觀書有感)」 중 ‘위유원두활수래(爲有源頭活水來)’에서 집..
2012.11.23 -
담-#6
한창 "대전사" 담 밑에 핀 국화 '아직' 가을은 끝나지 않았다.
2012.11.23 -
소산마을
안동을 본관으로하는 김씨 문중의 500년 세거지 소산리는 안동시 풍산읍에 자리하고있다. 이 마을은 본관의 성씨가 같으면서도 시조를 달리하는 두 안동김씨가 함께 사는 동족 마을이다. 선안동 김씨(중시조는 김방경<1212-1300>의 종가는 삼소재이고, 후안동 김씨(시조는 김선평)의 종..
2012.11.22 -
내외(內外)담 망창(望窓)
전통문화의 중심 이념이었던 유교사상은 안동지역의 주거에도 깊이 반영되었는데, 주거공간은 크게 여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와 남성들의 생활공간인 사랑채로 나누어졌다. ‘내외담’이라 하여 사랑채에서 마당을 지나 중문을 통과하여 안채에 이르는 곳에 나지막한 담을 설치하였다..
2012.11.21